저장
그 풍경을 나는 이제 사랑하려 하네: 안도현의 노트에 베끼고 싶은 시
靑岩 吉世哲 (2009.12.03 02:04:30)

* 도서 소개 및 이미지 출처 : www.yes24.com

[도서명] : 그 풍경을 나는 이제 사랑하려 하네: 안도현의 노트에 베끼고 싶은 시
[저    자] : 안도현 엮음/김기찬 사진
[출판사] : 이가서
[가    격] : 8,900
[출판일] : 2006년 06월 12일
[현상태] : 판매중
[기  타] : 177쪽 | 360g



<책 소개>


“시를 좋아하는 독자들의 눈높이를 한 단계 상승시켜 줄 것”이라고 저자가 서문에서 밝혔듯이『그 풍경을 나는 이제 사랑하려 하네』이 시 모음집의 가장 큰 특징은 일반 10, 20대의 독자층만 겨냥한 연애시가 아니라 시에 대한 관심이 높고 자신의 삶을 성찰하려는 욕구가 강한 독자층을 겨냥했다는 점이다.

근대화, 도시화란 이름으로 부르는 근자의 급격한 사회 변화 속에서 잃어버린 우리의 근원 정서를 간결하고 담백한 시행에 담아 되살려낸 신경림 시인의 시를 비롯해 ‘날이미지’로 유명한 오규원, 한국 특유의 여성성을 노래한 김혜순, 강화도의 시인 함민복의 시들이 이러한 사실을 뒷받침한다. 아울러 시인은 “작지만 강력한 시의 힘을 신뢰하는 분들이 조금씩 늘어나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또한 이 시 모음집은 고등학교와 대학교 시절 그리고 문학 공부를 하면서 대학노트 네 권 분량의 시들을 필사했고, 한 달에 1,000여 편의 시를 읽는다는 안도현 시인이 고른 시 48편이란 점이 주목된다. 즉, 시의 예술성과 대중성을 겸한 시를 게재한 것이다.

아울러 저자는 이번 시 모음집에 실린 시들은 “자신의 취향과 자신이 생각하는 ‘좋은 시’의 기준에 부합되는 시들”이란 점도 강조했다. 즉, 안도현의 시를 좋아하는 독자라면 이번 시 모음집에 실린 시들을 통해 한국 시 세계의 원류도 엿볼 수 있다. 특히 이번 시 모음집에는 김기찬 사진작가의 흑백사진들이 시와 함께 어우러져 있어 아련한 향수를 배가시킨다. 즉, 흑백사진만 보더라도 한 편의 이야기를 떠올릴 수 있다.

더욱이 각 사진마다 시의 여운을 배가시키는 문장들이 삽입되어 있어 감동을 더한다. 예를 들어 오창렬 시인의 시 「부부」에서는 두 부부가 머리에 각각 장독대의 몸통과 뚜껑 부분을 나눠 이고 나란히 길가를 걸어가는 사진에 “안팎으로 침묵과 위로가 나란하다 / 이런저런 궁리를 따라 길이 구불거리고 / 묵묵한 동행은 멀리 언덕을 넘는다 / 소실점 가까이 한 점 된 부부 / 언덕도 힘들지 않다”라는 시의 문장이 삽입되어 있다.

또한 정양 시인의「물 끓이기」에서는 이 시대를 반영하듯 끊어오르는 감정을 표현 을 하는 두 노인의 사진에 “부글부글 끓어오를 수 있다면 끓어올라 넘치더라도 부끄럽지도 쑥스럽지도 않은 세상이라면 그런 세상은 얼마나 참 얼마나 아름다우랴”라는 구절을 삽입하여 시의 여운을 더했다.
대중적인 사랑을 한 몸에 받고 있는 중견 시인 안도현 씨가 선택한 시들과 산문 그리고 ‘골목안 풍경’ 사진작가 김기찬의 사진들이 어우러진 이번 시 모음집을 통해 7, 80년대의 아련한 추억과 더불어 삶에 대한 진지한 성찰을 만날 수 있다.



<저자 소개>

安度眩
1961년 경북 예천에서 태어났으며, 원광대 국문과와 단국대 대학원 문예창작학과를 졸업했다. 1981년 대구매일신문 신춘문예에 시 이, 1984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이 당선되어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같은해 전북 이리중학교에 국어교사로 부임하였으며, 이듬해 첫 번째 시집, 『서울로 가는 전봉준』을 출간하였다. 전교조 활동으로 해직된 지 5년만에 복직되었으며, 1996년 시와 시학 젊은 시인상을 수상하였고, 1997년 전업작가가 되었다. 2004년 이후에는 우석대학교 문예창작과 전임강사로 재직중이다.

안도현 시인은 맑은 시심을 바탕으로 낭만적 정서를 뛰어난 현실감으로 포착해온 시인이다. 그의 시는 보편성을 지닌 쉬운 시어로 본원성을 환기하는 맑은 서정을 담아냈다는 평가를 받는다. 첫시집 『서울로 가는 전봉준』에서 90년대 초반까지 곤궁한 삶의 현장의 비애를 담아냈던 시인은 90년대 후반 이후부터는 직접적인 현실 묘사에 한발 거리를 두면서 자연과 소박한 삶의 영역을 본격적으로 탐구하기 시작한다. 시인 권혁웅은 안도현의 시에서 삶과 사랑이 같은 자리에 있음을 밝히면서 “성근 것, 비어 있는 것, 그늘을 드리운 것, 나란히 선 것 들이 모두...1961년 경북 예천에서 태어났으며, 원광대 국문과와 단국대 대학원 문예창작학과를 졸업했다. 1981년 대구매일신문 신춘문예에 시 <낙동강>이, 1984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서울로 가는 전봉준>이 당선되어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같은해 전북 이리중학교에 국어교사로 부임하였으며, 이듬해 첫 번째 시집, 『서울로 가는 전봉준』을 출간하였다. 전교조 활동으로 해직된 지 5년만에 복직되었으며, 1996년 시와 시학 젊은 시인상을 수상하였고, 1997년 전업작가가 되었다. 2004년 이후에는 우석대학교 문예창작과 전임강사로 재직중이다.

안도현 시인은 맑은 시심을 바탕으로 낭만적 정서를 뛰어난 현실감으로 포착해온 시인이다. 그의 시는 보편성을 지닌 쉬운 시어로 본원성을 환기하는 맑은 서정을 담아냈다는 평가를 받는다. 첫시집 『서울로 가는 전봉준』에서 90년대 초반까지 곤궁한 삶의 현장의 비애를 담아냈던 시인은 90년대 후반 이후부터는 직접적인 현실 묘사에 한발 거리를 두면서 자연과 소박한 삶의 영역을 본격적으로 탐구하기 시작한다. 시인 권혁웅은 안도현의 시에서 삶과 사랑이 같은 자리에 있음을 밝히면서 “성근 것, 비어 있는 것, 그늘을 드리운 것, 나란히 선 것 들이 모두 사랑의 아이콘”이며 이것들은 “넓은 것, 휑하니 뚫린 것, 쭉쭉 뻗어 있는 것들 사이에 끼어들어 숨구멍을 만들어놓는다”고 평했다. 황동규 시인은 “안도현은 불화 속에서도 화해의 틈새를 찾아낸다”고 말하면서 “적막에 간절한 모습을 주고 산불이 쓸고 간 폐허의 나무와 나무 사이의 간격에서 숲의 원구조를 찾는 것”이 바로 화해의 모습이라고 지적했다.

1981년「낙동강」으로 등단한 후, 가혹한 시대의 현실과 민중적 정서를 그린 초기시부터 낭만적 정서와 유려한 시의 질감을 보여준 안도현 시인은『그리운 여우』이후, 소담스러운 언어 미학과 삶의 소박한 풍경들에 대한 섬세한 시선을 선보여 왔다. 언제나 작은 것에 대한 각별한 통찰력을 지니고 있던 안도현은 『아무것도 아닌 것에 대하여』라는 시집에서 ‘아무것도 아닌 것들’에 대한 섬세한 발견의 기쁨과 그것을 통한 삶의 깨달음을 시인 특유의 생뚱맞고도 능청스러운 입담을 통하여 질박하게 그려내고 있다. 시인이란 본질적으로 낭만주의자의 운명을 지닌 존재임을 은연중에 역설하면서, 낡은 배를 산으로 데려가기 위해 20년 간 끙끙대며 시를 써왔고, 배를 뭍에 올리자 배도 바다도 모두 환해졌으며, 배를 밀고 국도와 보리밭으로 갈 때 그를 비웃는 사람들에게 \"귓구멍이 뻥 뚫리도록 뱃고동을 울려주\"겠다는 말을 통해 자신의 시가 퇴행이나 도피와는 다른, 무한한 꿈의 과정임을 이야기하고 있다.

『연어』는 시인 안도현의 섬세한 시적 감수성이 산문에서도 아름답게 피어나는 작품이다. 연어의 모천회귀라는 존재 방식에 따른 성장의 고통과 아프고 간절한 사랑을 시인은 깊은 시선으로 그리고 있다. \'은빛연어\' 한 마리가 동료들과 함께 머나먼 모천 으로 회귀하는 과정에서 누나연어를 여의고 \'눈맑은연어\'와 사랑에 빠지고 폭포를 거슬러오르며 성장해가는 내용의 <연어>는 숨지기 직전 산란과 수정을 마치는 연어의 슬프면서도 아름다운 운명이 시적이고 따뜻한 문체 속에 들어있다.

또다른 저서로는 시집 『서울로 가는 전봉준』『모닥불』『그대에게 가고 싶다』『외롭고 높고 쓸쓸한』『그리운 여우』『바닷가 우체국』『아무것도 아닌 것에 대하여』, 어른을 위한 동화 『연어』『관계』『사진첩』『짜장면』『증기기관차 미카』 등이 있고, 산문집으로 『외로울 때는 외로워하자』『사람』이 있다. 2002년 『만복이는 풀잎이다』를 시작으로 그림동화책을 쓰기 시작하였으며, 아이들을 위한 동화책 뿐만 아니라 어른들을 위한 동화책도 내놓고 있다.

최근 집필한 『가슴으로도 쓰고, 손 끝으로도 써라』는 ‘좋은 시는 어떻게 태어나는지’, ‘좋은 시는 어떻게 쓰는지’를 고민하게 하는 시작법 책인 동시에 오랜 세월 시마詩魔와 동숙해온 시인 자신의 시적 사유의 고갱이들이 담겨 있다. ‘좋은 시를 어떻게 쓸 수 있는지’에 대한 비법이 수능시험 답안지처럼 나와 있는 것은 아니지만, \'시가 무엇인지\'를 말하기 보다는 \'시적인 것\'을 탐색하는데 주력한다는 자신의 이야기, 상투적인 것을 피하라는 충고, 한 편의 시가 탄생하는 순간에 관한 이야기 등을 통해 좋은 시가 어떻게 탄생하는지에 관해 이야기 한다.  
사진 : 김기찬
동양방송국 영상제작부장과 한국방송공사 영상제작국 제작 1부장을 역임했다. 1988년 이후 ‘골목안 풍경’을 테마로 한 개인전을 여섯 차례 개최했으며, 같은 제목의 사진집 시리즈를 제6집까지 출간해 사진계와 독자들로부터 열렬한 지지를 받았다. 『역전 풍경』, 『골목안 풍경 30년』 등의 사진선집이 있다. 제3회 이명동사진상(2002)과 제3회 동강사진문화상(2004)을 수상했다.



<목차>

책머리에

1부 그릇의 밑바닥이 가장 맛있다

掌篇·2―김종삼
백석 시집에 관한 추억―서정춘
밥그릇―정호승
부뚜막에 쪼그려 수제비 뜨는
나어린 처녀의 외간 남자가 되어―김사인
파안―고재종
못자리에 들어가는 못물처럼―장석남
수문 양반 왕자지―이대흠
봄날 오후―김선우
墨竹―손택수
찜통―박성우
파행―이진수
살구꽃―문신

2부 가까스로 저녁에서야

돌 하나, 꽃 한 송이―신경림
새떼를 베끼다―위선환
감꽃―김준태
태백산행―정희성
별빛들을 쓰다―오태환
손님―백무산
도장골 이야기-부레옥잠―김신용
밀물―정끝별
부검뿐인 생―이정록
불혹不惑, 혹은 부록附錄―강윤후
가재미―문태준
부부―오창렬

3부 마음의 풍경

그 굽은 곡선―정현종
들찔레와 향기―오규원
이런 詩―최승자
고니 발을 보다―고형렬
고래의 항진―박남철
바람 부는 날이면―황인숙
흰뺨검둥오리―송재학
호랑나비돛배―고진하
뻘에 말뚝 박는 법―함민복
11월―최정례
아, 오월―김영무
왜가리는 왜 몸이 가벼운가―이나명

4부 그대 언제나 내 뒤에서

물 끓이기―정양
환한 걸레―김혜순
가시―남진우
뻐꾸기는 울어야 한다―이문재
만년필―송찬호
트렁크―김언희
빗방울, 빗방울―나희덕
진흙탕에 찍힌 바퀴 자국―이윤학
월식―강연호
불룩한, 봄―강미정
아직 얼마나 오래 그리고 언제―이병률
절편―유홍준






* 알림 *
상기도서 읽으신 분께서는 아래와 같은 형식에 따라 댓글달아주시기 바랍니다.
다른 회원님들께서 사진 공부하실때 좋은 정보가 될 것입니다.

[구매유무] : 구매, 대여
[도서내용] : 만족, 보통, 부족
[추천유무] : 추천, 보통, 비추천
[회원리뷰] :  

[[JPEG]] [Compression Type]Baseline [Data Precision]8 bits [Image Height]400 pixels [Image Width]270 pixels [Number of Components]3 [Component 1]Y component: Quantization table 0, Sampling factors 2 horiz/2 vert [Component 2]Cb component: Quantization table 1, Sampling factors 1 horiz/1 vert [Component 3]Cr component: Quantization table 1, Sampling factors 1 horiz/1 vert [[JFIF]] [Version]1.1 [Resolution Units]inch [X Resolution]96 dots [Y Resolution]96 dots [Thumbnail Width Pixels]0 [Thumbnail Height Pixels]0 [[Huffman]] [Number of Tables]4 Huffman tables [[File Type]] [Detected File Type Name]JPEG [Detected File Type Long Name]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Detected MIME Type]image/jpeg [Expected File Name Extension]jpg [[File]] [File Name]1284446204_8.jpg [File Size]77374 bytes [File Modified Date]Tue Sep 14 15:36:44 +09:00 2010
0.0|0.0
문기대 2010.11.23 0
문기대 2010.11.23 4572 0
靑岩 吉世哲 2009.12.16 0
靑岩 吉世哲 2009.12.16 2581 0
靑岩 吉世哲 2009.12.16 0
靑岩 吉世哲 2009.12.16 2864 0
靑岩 吉世哲 2009.12.15 0
靑岩 吉世哲 2009.12.15 3031 0
사진집 The Road
靑岩 吉世哲 2009.12.15 0
靑岩 吉世哲 2009.12.15 2549 0
靑岩 吉世哲 2009.12.15 0
靑岩 吉世哲 2009.12.15 3537 0
靑岩 吉世哲 2009.12.15 0
靑岩 吉世哲 2009.12.15 3202 0
靑岩 吉世哲 2009.12.15 0
靑岩 吉世哲 2009.12.15 2935 0
靑岩 吉世哲 2009.12.15 0
靑岩 吉世哲 2009.12.15 3046 0
靑岩 吉世哲 2009.12.15 0
靑岩 吉世哲 2009.12.15 2641 0
靑岩 吉世哲 2011.09.01 0
靑岩 吉世哲 2011.09.01 3743 0
靑岩 吉世哲 2009.12.03 0
靑岩 吉世哲 2009.12.03 4579 0
靑岩 吉世哲 2009.12.02 0
靑岩 吉世哲 2009.12.02 3968 0
靑岩 吉世哲 2009.12.02 0
靑岩 吉世哲 2009.12.02 2714 0
문기대 2009.10.22 0
문기대 2009.10.22 2747 0
문기대 2009.10.19 0
문기대 2009.10.19 3584 0
이론 좋은 사진 1
靑岩 吉世哲 2009.10.19 0
靑岩 吉世哲 2009.10.19 2743 0
靑岩 吉世哲 2009.10.19 0
靑岩 吉世哲 2009.10.19 2318 0
靑岩 吉世哲 2009.10.19 0
靑岩 吉世哲 2009.10.19 2644 0
靑岩 吉世哲 2009.10.19 0
靑岩 吉世哲 2009.10.19 249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