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의 빛 (양장)
강운구 저 | 문학동네 | 2004년 01월
페이지 255 / 409g
ISBN-10 : 8982817778
책소개
한국 작가주의 사진가 1세대인 강운구는 30여 년 동안 세상의 모든 진실과 사물의 속뜻을 해석하는 예리한 눈으로 현실을 정확하게 기록하면서도 따뜻하고 애틋한 작품을 만들어왔다. 또한 다큐멘터리의 보편성을 주목하고 소재주의를 부정하며 대상의 내면을 찍어내는 세밀한 필치로 우리 고유의 풍경을 그려냄으로써 가장 한국적인 질감의 사진을 남기는 작가로 평가받고 있다.
이 책은 강운구의 사진산문집으로 작가가 길에서 만난 우리의 봄 여름 가을 겨울, 그 빛과 환희의 시간을 그대로 사진에 담아내면서, 그와 함께 순간순간 머릿속을 스치는, 짧지만 묵직한 단상들을 펼쳐 보인다. 2000년 9월부터 2002년 5월까지 『시사저널』에 격주로 연재한 글과 사진을 묶은 것이다.
저자 및 역자 소개
사진 : 강운구
외국 사진이론의 잣대를 걷어내고 우리의 시각언어로써 포토저널리즘과 작가주의적 영상을 개척한 우리 시대의 빼어난 다큐멘터리 사진가 중 한 사람. 1941년 문경에서 태어나 경북대학교 영문과를 졸업했다. 1966년에 조선일보사 편집국 사진부 기자로 입사하면서 포토저널리스트가 되었고, 그후 1970년 동아일보사로 옮겨 출판국 사진부 기자로 재직하던 중, 1975년 정부의 언론 탄압에 저항해 결성된 \'동아 언론자유수호 투쟁위원회\'에 가입했다가 해직되었다. 이후 제한된 전람회장의 벽면보다는 잡지나 책의 지면에 더 비중을 두며 1983년부터 지금까지 프리랜서로 활동하고 있다. 강운구는 1960년대 이후 개발독재의 강압적 분위기 속에서 산업사회로 바뀌는 국면들을 끊임없이 기록해 왔으며, 외국 사진이론의 잣대를 걷어내고 우리의 시각언어로써 포토저널리즘과 작가주의적 영상을 개척하여 가장 한국적인 질감의 사진을 남기는 사진가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우연 또는 필연」(1994), 「모든 앙금」(1998) 「마을 삼부작」(2001) 등 세 차례의 개인전을 가진 바 있다. 사진집으로 『내설악 너와집』(1978), 『경주남산』(1987), 『우연 또는 필연』(1994), 『모든 앙금』(1998), 『강운구』(2004)가 있고, 사진과 함께한 산문집으로 『시간의 빛』(2004)이 있으며, 공저로 『사진과 함께 읽는 삼국유사』(1999), 『능으로 가는 길』(2000), 『한국 악기』(2001)등이 있다.
외국 사진이론의 잣대를 걷어내고 우리의 시각언어로써 포토저널리즘과 작가주의적 영상을 개척한 우리 시대의 빼어난 다큐멘터리 사진가 중 한 사람. 1941년 문경에서 태어나 경북대학교 영문과를 졸업했다. 1966년에 조선일보사 편집국 사진부 기자로 입사하면서 포토저널리스트가 되었고, 그후 1970년 동아일보사로 옮겨 출판국 사진부 기자로 재직하던 중, 1975년 정부의 언론 탄압에 저항해 결성된 \'동아 언론자유수호 투쟁위원회\'에 가입했다가 해직되었다. 이후 제한된 전람회장의 벽면보다는 잡지나 책의 지면에 더 비중을 두며 1983년부터 지금까지 프리랜서로 활동하고 있다. 강운구는 1960년대 이후 개발독재의 강압적 분위기 속에서 산업사회로 바뀌는 국면들을 끊임없이 기록해 왔으며, 외국 사진이론의 잣대를 걷어내고 우리의 시각언어로써 포토저널리즘과 작가주의적 영상을 개척하여 가장 한국적인 질감의 사진을 남기는 사진가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우연 또는 필연」(1994), 「모든 앙금」(1998) 「마을 삼부작」(2001) 등 세 차례의 개인전을 가진 바 있다. 사진집으로 『내설악 너와집』(1978), 『경주남산』(1987), 『우연 또는 필연』(1994), 『모든 앙금』(1998), 『강운구』(2004)가 있고, 사진과 함께한 산문집으로 『시간의 빛』(2004)이 있으며, 공저로 『사진과 함께 읽는 삼국유사』(1999), 『능으로 가는 길』(2000), 『한국 악기』(2001)등이 있다.
책속으로
• 책속으로
여름은 서서히 저문다. 사람들이 철새떼처럼 잠시 몰려왔다가 우르르 떠난 섬은 그런 기억도 없다는 듯이 여전한 풍경으로 시치미를 뗀다. 저물녘은 장엄하고 아름답다. 겨우 하루 해가 지는 것일 뿐인데도, 그것을 바라보고 있노라면 숙연해진다. 철이 안 든 사람은 그런 걸 바라보기를 좋아하며, 철든 사람은 그런 것에서 감각으로서는 아름다움을 느낄지라도, 어쨌든 \'지는 것\'이므로 논리로서는 좋아하지 않는다고 한다. 그렇다면 그런 생각이 보편적인 것은 아닐지라도, 선택할 수 있다면, 끝까지 철 안 드는 쪽을 택하고 싶다.---p. 본문중에서
[[JPEG]]
[Compression Type]Baseline
[Data Precision]8 bits
[Image Height]150 pixels
[Image Width]103 pixels
[Number of Components]3
[Component 1]Y component: Quantization table 0, Sampling factors 1 horiz/1 vert
[Component 2]Cb component: Quantization table 1, Sampling factors 1 horiz/1 vert
[Component 3]Cr component: Quantization table 1, Sampling factors 1 horiz/1 vert
[[JFIF]]
[Version]1.2
[Resolution Units]none
[X Resolution]100 dots
[Y Resolution]100 dots
[Thumbnail Width Pixels]0
[Thumbnail Height Pixels]0
[[Ducky]]
[Quality]60
[[Adobe JPEG]]
[DCT Encode Version]25600
[Flags 0]192
[Flags 1]0
[Color Transform]YCbCr
[[Huffman]]
[Number of Tables]4 Huffman tables
[[File Type]]
[Detected File Type Name]JPEG
[Detected File Type Long Name]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Detected MIME Type]image/jpeg
[Expected File Name Extension]jpg
[[File]]
[File Name]1284446200_6.jpg
[File Size]2328 bytes
[File Modified Date]Tue Sep 14 15:36:40 +09:00 2010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