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장
NATIONAL GEOGRAPHIC 포토그래피 필드 가이드 : 디지털 흑백사진을 잘 만드는 비결
靑岩 吉世哲 (2007.03.18 00:04:22)
도서 소개 및 이미지 출처 : www.yes24.com


[도서명] : NATIONAL GEOGRAPHIC 포토그래피 필드 가이드 : 디지털 흑백사진을 잘 만드는 비결
[저    자] :  리처드 올세니우스 Richard Olseniuss  
[출판사] :청어람미디어
[가    격] : 13,000
[출판일] : 2006.12
[현상태] : 판매중
[페이지] :  189 / 369g


[도서소개]

카르티에-브레송, 안젤 아담스 등 사진의 대가들이 작업해온 방식이며 사진을 하는 사람들에게는 첫사랑과도 같은 ‘흑백사진’이라는 주제를 내셔널 지오그래픽의 베테랑 사진가들의 풍부한 현장경험을 토대로 심도 있게 다루고 있다. “기술적인 표현의 문제”부터 “사진적 내용과 주제에 대한 구현”까지, 기본적인 문제의 해결과정을 현장에서의 구체적인 지침과 유명 사진가들의 핵심적인 팁을 통해 보다 풍부하게 담아낸다.

흑백사진의 핵심요소인 빛을 제대로 이용하는 법, 흑백 디지털 사진을 위한 적절한 장비들의 목록, 필름 스캔의 정확한 방법, 이미지 데이터베이스 관리 방법, 모니터 캘리브레이션 방법, 디지털 암실에서의 효과적인 조정법, 프린트 출력과 보관 방법까지 디지털 흑백사진의 모든 것을 핵심만을 가려 실었다.


[저자소개]

저자 : 리처드 올세니우스 Richard Olseniuss  
1966년에 사진기자가 된 이래로 여러 차례의 수상 경력을 보유한 전문 사진가다. 내셔널 지오그래픽의 전직 사진부장을 역임한 바 있으며, 현재 사진작업뿐만 아니라 영화제작자로도 활약하고 있다. 30여 년간 17권에 달하는 책을 냈으며, 《내셔널 지오그래픽》지에 15차례나 포토스토리를 게재하는 등 왕성한 활동력의 소유자다. 사진과 영화제작으로 미국 내에서 총 100회 이상 수상을 했으며, 그의 첫사랑과도 같은 대형 판형의 흑백사진을 만드는 일에 애정을 가지고 꾸준히 추구하고 있다. 체사피크 만 근처에서 살고 있다.

  역자 : 강병기  
서울대 재료공학과를 졸업하고 동아일보 편집국 사진부에 들어갔다. 1999년 한국사진기자협회 첨단기술위원장을 지냈으며, 현재 동아일보 편집국 사진부 기자로 활동하고 있다. 역서로는 내셔널 지오그래픽 필드 가이드 시리즈의 『디지털 사진』이 있다.


[목차보기]

서론
흑백사진의 시작
흑백으로 보기
매리언 E. 워렌_지역 다큐멘터리
적절한 카메라 선택하기
빛으로 그린 그림
S. J. 돈 달_봉사의 소명
디지털 이미지 만들기
브라이언 피터슨_사람과 장소에 대한 기록
디지털 편집기
작품 출력하기
닉 켈시_형태와 감성을 촬영한다
흑백사진에 대하여
유용한 정보들
옮긴이의 글_색채 뒤에 숨겨진 삶의 진실을 보라
인덱스


[책 속으로]

“버려진 사우스다코타의 한 호텔을 보름달 아래에서 촬영한 이 사진처럼, 극단적인 빛 조건에서 촬영을 시도해보라. 신비하고 이색적인 이미지를 만드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흑백으로 보기> 중에서--- p.38

“카메라 렌즈야말로 투자를 아끼지 말아야 할 중요한 장비다. ‘지불한 대로 얻으리라’는 말은 렌즈를 구입할 때 따르는 안전한 법칙과도 같다. 흑백사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이미지의 화질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최대 조리개가 f/1.4 또는 f/2의 매우 비싼 밝은 렌즈를 사는 데 망설인다. 35mm 카메라를 쓰는 이유는 속도와 유연성 때문이다. 밝은 렌즈는 어두운 상황에서 매우 유용한 자산이 될 수 있다.” <적절한 카메라 선택하기> 중에서--- p.52

“요즘에는 디지털 기술을 이용해 나의 사진작업 전반을 조절하고 강화하고 있는데, 여러 측면에서 볼 때 훨씬 효율적이며 다수의 작품을 만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익성도 높다. 나는 예전의 암실에서는 불가능했던 조절방법을 이용해 매우 아름다운 대형 흑백 이미지를 인화하고 있다. 암실에서의 경험이 디지털 왕국의 포토샵을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되었다. 내가 이렇게 말할 수 있는 것은, 새로운 기술을 이용해 얻을 것은 많고 잃은 것은 거의 없기 때문이다.” <빛으로 그린 그림> 중에서--- p.85

“그 당시에 컬러필름은 엄두를 못 낼 때라, 내 사지은 모두 흑백사진이었다. 결과적으로 나는 흑백사진을 사랑하게 되었고 흑백사진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이해하게 되었다. 나는 사물들로부터 흑백을 추출하는 방식을 좋아한다. 형태와 감정으로 삶의 꾸밈없는 정수를 드러내는 방식을 사랑한다. 나는 낙엽이 떨어지기 시작하고 초원이 여름 코트를 벗는 대평원의 가을을 사랑한다. 이때야말로 정말 흑백의 본성이 나타나는 때이고 그것은 겨울까지 계속된다. 컬러는 산만하다. 몇 년이 지나도 당신은 내가 컬러사진을 찍도록 만들지 못할 것이다. 아메리카인디언의 생활을 기록하면서부터 나는 정말 삶의 정수에 가까이 다가가고 싶었다.” 중에서--- p.90

“디지털 사진에 열광하는 한편으로, 우리는 디지털 카메라가 더 좋은 사진을 찍게 해주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과, 컴퓨터는 어떤 감성적 내용도 추가하지 못하며 새로운 디지털 프린트는 100년 전에 실버 젤라틴 프린트가 했던 것, 즉 사진의 의미를 전달하는 일을 그대로 하고 있을 뿐이라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디지털 이미지 만들기> 중에서--- p.96

“흑백으로 촬영하면 주제에 대해 집중적으로 생각할 수 있다. 감정, 형태, 빛, 구성에 집중하라. 컬러의 산만함은 무시하라. 이런 것을 유리하게 사용하라.” <브라이언 피터슨_사람과 장소에 대한 기록> 중에서--- p.141

“다른 사람에게 이미지를 보여주는 방식은 항상 매우 중요한 일이다. 프린트를 보관용 박스에 넣어 좋은 서류철에 잘 정리해두고, 프린트 사이에 보존용 간지를 넣어두거나 두꺼운 종이 위에 잘 보관하는 등 당신의 이미지에 가치를 둔다면, 당신의 작품을 보는 사람들은 당신의 작품에 대해 매우 긍정적인 인상을 가질 것이다.” <작품 출력하기> 중에서--- p.169

“당신에게 가장 좋은 카메라는 당신이 사용할 바로 그 카메라다” <닉 켈시_형태와 감성을 촬영한다>--- p.175


[출판사 리뷰]

100년 이상 대자연과 인간사회의 감동을
박진감 있게 전해온 세계적인 잡지, 내셔널 지오그래픽.
세계 최고라 자부하는 내셔널 지오그래픽 사진가들이 말하는 흑백사진의 모든 것!

“무상한 삶의 변화하는 시간 속에서 영원히 멈춰버린 순간이나 시각적 아이디어보다 더 강력한 것은 없으며, 흑백사진보다 이를 더 잘 표현해주는 것은 없다. 이는 결코 변치 않을 것이다.”
-리처드 올세니우스, 내셔널 지오그래픽 사진가, 저자

지난해 출간되자마자 사진동호회, 사진학과 관련자, 사진애호가들의 열렬한 호응과 찬사를 받은 청어람미디어의 《내셔널 지오그래픽 포토그래피 필드 가이드》 시리즈! 이번에 그 여섯 번째 책 『디지털 흑백사진을 잘 만드는 비결』이 출간되었다.(후속 시리즈로 『액션&어드벤처 사진을 잘 만드는 비결』이 2007년 출간될 예정이다.)

■ 6권『디지털 흑백사진을 잘 만드는 비결』에 수록된 주요 내용
기억에 남을 만한 유서 깊은 사진들이 대부분 흑백사진이라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그것은 눈에 보이는 색채 이상의 무언가를 표현해낼 수 있는 흑백사진의 힘 때문이다. 앙리 카르티에-브레송이 말한 “결정적 순간”도 방해요소가 훨씬 적은 흑백사진에서 찾아내기가 더 유리하다. 최근에는 작업방식이 전통적인 필름과 암실작업에서 디지털로 옮겨가는 추세에 따라 디지털 흑백사진에 대한 사진애호가들의 관심도 높아졌다. 내셔널 지오그래픽 전직 사진부장이며 다수의 수상기록을 보유한 베테랑 사진가인 저자 리처드 올세니우스는 아름다운 예시사진들과 함께 필름과 디지털 사진으로 아름다운 걸작 흑백사진을 만드는 비결을 공개한다.
특히 많은 사진가들이 궁금해하는 주제인 ?컬러 이미지를 톤이 풍부하게 살아 있는 흑백사진으로 만드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실었고, 집에서도 멋진 흑백 프린트를 만들 수 있는 적절한 프린터 정보도 제시했다. 좋은 필름 스캐너의 선택과 스캔 설정 방법, 모니터 캘리브레이션 방법, 포토샵 활용 방법과 데이터 처리 방법은 아직 컴퓨터 장비와 이미지 프로그램을 다루는 데 익숙하지 않은 이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다.
세계적인 사진가들인 매리언 E. 워렌, 브라이언 피터슨, S. J. 돈 달, 닉 켈시의 인터뷰를 통해 흑백사진만의 매력에 대해 진솔하게 이야기하고 현장에서 활용할 만한 실제적인 사진 Tip을 함께 공개했다. 이들이 한결같이 말하는 것은 “무엇을 이야기하고자 하는가”를 항상 자신에게 묻고 이를 사진으로 표현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사실이다. “당신에게 가장 좋은 카메라는 당신이 사용할 바로 그 카메라”라는 닉 켈시의 조언은 진정한 사진작업의 의미를 다시 한번 일깨워준다.





* 알림 *
상기도서 읽으신 분께서는 아래와 같은 형식에 따라 댓글달아주시기 바랍니다.
다른 회원님들께서 사진 공부하실때 좋은 정보가 될 것입니다.

[구매유무] : 구매, 대여
[도서내용] : 만족, 보통, 부족
[추천유무] : 추천, 보통, 비추천
[회원리뷰] :

[[JPEG]] [Compression Type]Baseline [Data Precision]8 bits [Image Height]400 pixels [Image Width]270 pixels [Number of Components]3 [Component 1]Y component: Quantization table 0, Sampling factors 2 horiz/2 vert [Component 2]Cb component: Quantization table 1, Sampling factors 1 horiz/1 vert [Component 3]Cr component: Quantization table 1, Sampling factors 1 horiz/1 vert [[JFIF]] [Version]1.1 [Resolution Units]inch [X Resolution]96 dots [Y Resolution]96 dots [Thumbnail Width Pixels]0 [Thumbnail Height Pixels]0 [[Huffman]] [Number of Tables]4 Huffman tables [[File Type]] [Detected File Type Name]JPEG [Detected File Type Long Name]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Detected MIME Type]image/jpeg [Expected File Name Extension]jpg [[File]] [File Name]1284446195_2.jpg [File Size]72802 bytes [File Modified Date]Tue Sep 14 15:36:35 +09:00 2010
0.0|0.0
실버리밋 / 이종원 2007.05.16 0
실버리밋 / 이종원 2007.05.16 4201 0
실버리밋 / 이종원 2007.05.16 0
실버리밋 / 이종원 2007.05.16 3529 0
Ω表成基 2007.05.09 0
Ω表成基 2007.05.09 3500 0
스웨터 윤창교 2007.05.03 0
스웨터 윤창교 2007.05.03 5344 0
에세이 아내의고향 1
실버리밋 / 이종원 2007.04.26 0
실버리밋 / 이종원 2007.04.26 3480 0
실버리밋 / 이종원 2007.04.24 0
실버리밋 / 이종원 2007.04.24 3986 0
실버리밋 / 이종원 2007.04.24 0
실버리밋 / 이종원 2007.04.24 3418 0
실기 사진가 수첩 1
실버리밋 / 이종원 2007.04.17 0
실버리밋 / 이종원 2007.04.17 3873 0
실버리밋 / 이종원 2007.04.17 0
실버리밋 / 이종원 2007.04.17 3826 0
실버리밋 / 이종원 2007.04.17 0
실버리밋 / 이종원 2007.04.17 3575 0
실버리밋 / 이종원 2007.04.17 0
실버리밋 / 이종원 2007.04.17 3428 0
靑岩 吉世哲 2007.03.18 0
靑岩 吉世哲 2007.03.18 4014 0
에세이 집으로 가는 길 1
㈜평론사/문준혁 2007.02.27 0
㈜평론사/문준혁 2007.02.27 3350 0
靑岩 吉世哲 2007.02.22 0
靑岩 吉世哲 2007.02.22 4003 0
靑岩 吉世哲 2007.02.22 0
靑岩 吉世哲 2007.02.22 3627 0
㈜평론사/문준혁 2007.02.06 0
㈜평론사/문준혁 2007.02.06 3634 0
㈜평론사/문준혁 2007.01.31 0
㈜평론사/문준혁 2007.01.31 3641 0
사진집 잃어버린 풍경 2
㈜평론사/문준혁 2010.10.23 0
㈜평론사/문준혁 2010.10.23 3575 0
㈜평론사/문준혁 2007.01.31 0
㈜평론사/문준혁 2007.01.31 3965 0
㈜평론사/문준혁 2007.01.31 0
㈜평론사/문준혁 2007.01.31 3723 0